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관련 TIP

자차 보험처리 할증 안되게 수리하는 방법 및 자기부담금 줄이는 방법

 

자차 보험처리 할증 되지 않고 수리하는 방법은 없을까?

자차 보험처리를 사용하시게 되면 무조건 보험할증이 오른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계신데

자차 보험처리를 하면서 할증이 되지 않고 수리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모든 사고로 보험 할증이 오르는건 아닙니다.

처음 자차 보험가입시 설정하시는 물적사고 할증기준금액과

사고건수요율에 따라 보험료 할증대상이 될수 있습니다.

"물적사고 할증기준금액의 정의는 무엇일까?"

사고가 발생 하면 본인 차량, 상대방의 차량, 재물 등 물적사고에 대해 보험처리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물적사고에 대한 보상금액에 따라 할증 여부가 결정되는 기준금액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물적사고 할증기준금액은 50만원/100만원/150만원/200만원 중 선택을 할수가 있습니다.

내 차량 가액이 높다면 200만원을 설정하시는게 좋습니다.

수입차 같은 경우 부품값, 수리 공임비가 국산차 보다 비싸기 때문에 자차 보험처리를 할 경우가 생기기 때문에

보험료 할증을 생각한다면 200만원으로 설정하시는게 좋겠죠?

즉, 물적사고 할증기준금액인 200만원으로 보험수리가 가능하다면

보험 할증이 되지 않고 수리가 가능한 얘기입니다.

물적사고 할증기준금액을 200만원으로

설정하는 이유는?

수입차는 꼭 200만원으로 설정을 해야 하는 이유는 비싼 부품값이 가장 큽니다.

수입차도 차종 마다 다르지만 앞 휀다 사고로 인해 헤드라이트가 깨지고

휀다에 기스가 났다고 가정을 해보겠습니다.

헤드라이트 가격만 보통 120만원이 넘는 금액입니다.

헤드라이트를 교체하기 위해선 앞 범퍼를 탈거해야 되기 때문에 수리 공임비가 붙습니다.

공임비 포함 헤드라이트 교체만 140만원이라고 가정해보면

남은 60만원으로 휀다 수리를 해야 보험 할증이 되지 않는데요.

휀다의 판금이 얼마큼 들어가는지에 따라 수리비용이 차이가 나지만

헤드라이트 교체 포함 200만원이 넘는 수리비용이 나올수 밖에 없습니다.

서비스센터 같은 경우는 수리가 가능한 사고부위를 수리 하기보단

대부분 교체 견적을 내기 때문에 서비스센터에서는

200만원이 넘는 수리금액이 나올수 밖에 없습니다.

자차 보험처리 할증이 되지 않도록 자세하게

설명해주는 수리업체가 있다면?

일반 수리업체, 서비스센터 같은 경우 보험 할증에 대한 얘기는 꺼내지 않고

"이정도 수리비용인데 자기부담금만 내시고 수리하는게 좋다"라고 단정짓고 말기 때문에

자차 보험처리를 하면서 보험할증은 얼만큼 되는지? 보험 할증이 되지 않고

보험수리는 불가능한지 자세한 설명을 해주는 수리업체가 별로 없습니다.

잘하는 수리업체라면 수리견적을 설명드리면서 자비로 했을 경우,

자차 보험처리를 했을 경우, 2가지를 두고 설명을 해드릴겁니다.

"자비로 할 경우"

자비로 했을 경우는 자차 보험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보험할증 걱정을 안하셔도 되겠지만

사고 부위가 광범위 할 경우 금전적인 부담이 클수밖에 없습니다.

"자차 보험처리를 할 경우"

자차 보험처리로 할 경우엔 자차 자기부담금은 얼마인지, 물적사고 할증기준금액인 200만원안으로 수리비용을 맞춰서

보험 할증이 안되도록 수리가 가능한지 꼼꼼하게 설명을 해줘야 잘하는 수리업체 입니다.

하지만 자차 보험처리를 할 경우 물적사고 할증기준금액과 별개로 3년동안 보험료 할인을 받을수 없기 때문에

비교해보고 비용이 덜 나가는쪽으로 선택해야 합니다.

자차 자기부담금은 얼마를 내야할까?

자차 보험처리시 자기부담금이 발생되는데요.

자기부담금은 물적사고 할증기준금액과 비례하여 나오게 됩니다.

물적사고 할증기준금액

자기부담금 20%

자기부담금 30%

50만 원

최소 5만 원

최대 50만원

최소 30만 원

최대 100만 원

100만 원

최소 10만 원

150만 원

최소 15만 원

200만 원

최소 20만 원

자차 보험처리시 할증은 얼마나 오를까?

예전에는 물적할증 기준금액인 200만원 이상이 될 경우 보험료 할증대상이 됬지만,

요즘에는 물적할증 기준 금액인 200만원 미만으로 수리를 하더라도 기본 보험 할증이 적용됩니다.

5%~8%정도의 보험료 할증이 붙습니다.

 

즉, 3년동안 사용한 보험이력이 없고 물적사고 할증기준금액 200만원안으로 수리를 하게 된다면

기본할증 5~8%로 기본할증만 붙습니다.

 

※상대방과 접촉사고가 났을때 보험 할증이 되지 않기 위해선

상대방 수리비용과 내 차량의 수리비용이 물적사고 할증기준금액인 200만원안으로

수리를 해야 가능하기 때문에 내가 과실이 더 높다면 상대방의 수리비용을 확인한 후

자차보험 처리가 좋을지, 자비가 좋을지 결정하시는게 좋습니다.

자차 보험수리 보단 자비로 하는게 좋다??

자차 보험처리로 보험수리를 하려고 하면 보험할증, 자기부담금이 더 많이 나온다 생각하시고

자비로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 다르지만 자비로 하는 경우가 좋을때가 있고

자차 보험처리를 사용하는게 좋을때가 있는데, 자차 보험에 대해 자세히 알지 못하기 때문에 많은 걱정을 하셨을겁니다.

저희 아이원모터스는 30년 경력의 수입차 전문 1급공업사로

수입차 브랜드 서비스센터에서 근무하셨던 최고의 베테랑 팀장님들과 함께

고객님들의 차량을 내차라고 생각하고, 전문적이고 꼼꼼하게 케어를 하고 있습니다.

또한, 고객님 입장에서 유리하게 수리하는 방법을 제시해드리고

합리적인 금액으로 최고의 수리퀄리티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이벤트들을 진행하고 있으니 많은 관심부탁드립니다.

1. 자차 보험 3판 이상 수리시 자기부담금 면제

(2판 이하 자기부담금50% 할인)

2. 손세차 내/외부 서비스 및 왕복 딜리버리 서비스

3. 수리부위에 대해 1년간 무상AS

"자차 보험처리 할증이 되지 않고 수리하는 방법을 찾고 계신가요?"

"수리비용이 많이 나오기 때문에 자기부담금이라도 줄이고 싶으신가요?"

언제든 편하게 연락주세요.

친절한 상담 도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010-6652-5613